윤동주(尹東柱, 1917년 12월 30일 ~ 1945년 2월 16일)는
일제강점기 당시 간도에서 태어난 독립운동가, 시인이자 작가이다.
본관은 파평(坡平). 중국 만저우 지방 지린성 연변 용정에서 출생하여 명동학교에서 수학하였고,
연희전문학교 2학년 재학 중 소년(少年) 지에 시를 발표하며 정식으로 문단에 등단했다.
일본에 건너가 1942년 교토 도시샤 대학에 입학 1943년 항일운동을 했다는 혐의로
일본 경찰에 체포되어 후쿠오카 형무소(福岡刑務所)에 투옥, 100여 편의 시를 남기고
27세의 나이에 옥중에서 요절하였다.
사인이 일본의 소금물 생체실험이라는 견해가 있고
그의 사후 일본군에 의한 마루타, 생체실험설이 제기되었으나 불확실하다.
사후에 그의 시집 《하늘과 바람과 별과 시》가 출간되었다.
일제 강점기 후반의 양심적 지식인의 한 사람으로 인정받았으며,
그의 시는 일제와 조선총독부에 대한 비판과 자아성찰 등을 소재로 하였다.
고종사촌형인 송몽규 역시 독립운동에 가담하려다가 체포되어
일제의 생체 실험 대상자로 분류되어 의문의 죽음을 맞는다.
그의 창씨개명 '히라누마'가 알려져 1990년대 후반 이후 논란이 일기도 했다.
본명 외에 동주(童柱)와 윤주(尹柱)라는 필명도 사용하였다.
용정의 윤동주 생가
윤동주는 1917년 12월 30일, 당시 북간도 간도성 화룡현 명동촌(明東村, 지금의 지린성 연변 조선족 자치주 용정시 지신진)에서 아버지 윤영석(尹永錫)과 어머니 김용(金龍) 사이의 3남 1녀 중 장남으로 태어났다.
그러나 어려서 요절한 두 동생을 포함하여 4남 2녀였다.
그의 처음 이름은 해환(海煥)이었다. 본관은 파평으로 간도 이주민 3세였다.
19세기 말, 함경도와 평안도 일대에 기근이 심해지자 조선 사람들은 국경을 넘어 간도와 연해주 등으로 이주하기 시작하였다. 윤동주의 증조부인 윤재옥도 집안을 이끌고 1886년경 함경도에서 만주로 이주하였다.
윤동주의 증조부인 윤재옥은 함경북도 종서군 동풍면 상장포에 살다가 1886년 북간도 자동으로 이주하였으며
할아버지 윤하현은 명동촌으로 삶의 터전을 옮겼다.
아버지 윤영석은 1910년 독립지사인 김약연의 누이동생 김용과 결혼하여 명동촌에 정착하게 된다.
한학자였던 외삼촌 규암 김약연(圭岩 金躍淵)은 1899년 종성에서 만주로 건너와 명동촌에 정착하였다.
윤동주의 연희전문학교 시절 기숙사인 핀슨홀
할아버지 윤하현은 기독교 장로로 부유한 농부였고, 아버지 윤영석은 명동학교에서 교사로 교편을 잡았다.
그는 어려서부터 기독교인인 할아버지 윤하현의 영향을 받았다.
그의 고모 윤신영은 송창희에게 시집갔는데, 그 고모의 아들이 독립운동가이자 그의 친구였던 송몽규였다.
당숙은 윤영춘으로 후일 가수가 되는 윤형주는 그의 6촌 재종이었다.
윤동주의 소년 시절
1925년 명동소학교(明東小學校)에 입학하여 재학 시절
고종사촌인 송몽규 등과 함께 문예지 《새 명동》을 발간하였다.
6년 뒤인 1931년, 14세에 명동소학교(明東小學校)를 졸업하고,
중국인 관립학교인 대랍자학교(大拉子學校)에 다니다 가족이 용정으로 이사하여,
용정 은진중학교(恩眞中學校)에 입학하였다.
그러나 1935년 소학교 동창인 문익환이 다니고 있는 평양의 숭실중학교로 전학하였다.
그해 10월, 숭실중학교 학생회가 간행한 학우지 숭실활천(崇實活泉) 제15호에 시 공상(空想)을 발표하였다.
그러나 신사참배 거부로 숭실중학교가 폐교되어, 문익환과 함께 용정에 있는 광명중학교로 편입하였다.
광명중에서 그는 정일권 등을 만나게 된다.
연희전문 시절
1937년 광명중학교 졸업반일 무렵, 상급학교 진학문제를 놓고 부친(의학과 진학 희망)과 갈등하나, 조부의 개입으로 연전 문과 진학을 결정한다.
1938년 2월 17일 광명중학교를 졸업한 후 경성(京城)으로 유학, 그해 4월 연희전문학교에 입학하였다.
기숙사와 하숙생활을 하며 그는 근처를 산책하며 시상을 떠올리고 시를 짓거나 벗과 담론을 하였다.
1939년 연희전문 2학년 재학 중 조선일보 학생란에 산문과 시를 발표하고 그 해 《소년(少年)》지에 시를 발표하며 처음으로 원고료를 받기도 했다.
1940년 일제 경찰의 학생에 대한 감시가 심해지자 후배 정병욱과 함께 연희전문 기숙사에서 나와
북아현동 누상동 등지에서 하숙생활을 함께 하며 시작에 몰두하였다.
그 후1941년 12월 27일에 연희전문학교 문과를 졸업할 무렵 틈틈이 썼던 시들 중 19편을 골라
시집 《하늘과 바람과 별과 시》를 내려 했으나 일제의 탄압을 걱정하는 주위의 만류로 뜻을 이루지 못하고
그 원고를 정병욱에게 증정한 후 일본 대학으로 유학 준비를 하게 된다.
윤동주의 대학 시절
1942년 3월 일본으로 건너가 도쿄 릿쿄 대학 문학부 영문과에 입학하였다가
10월 교토 도시샤 대학 영문학과에 편입하였다.
도시샤대학은 윤동주가 가장 좋아하는 시인 정지용이 다닌 학교로
일본 조합교회에서 경영하는 기독교계 학교였다.
윤동주 집안은 1941년 말 '히라누마'(平沼)로 창씨한 것으로 되어 있다.
일본 유학에 뜻을 둔 윤동주의 도일을 위하여 성씨를 히라누마로 창씨를 개명하게 되었다.
윤동주의 창씨개명은 본인의 의사와는 관계없는 것이었다.
그의 연보에 의하면 윤동주가 전시의 학제 단축으로 3개월 앞당겨 연희전문학교 4학년을 졸업하면서
1941년 연말에 "고향 집에서 일제의 탄압과 동주의 도일 수속을 위해 성씨를 '히라누마'로 창씨하였다는 것이다.
개명 후 윤동주는 매우 괴로워했다 한다.
창씨개명계를 내기 닷새 후 그는 창씨개명에 따른 고통과 참담한 비애를 그린 시 참회록을 썼다.
윤동주의 창씨개명설은 해방 이후에는 잘 알려지지 않았다가 1990년대에 와서 널리 알려지게 되었다.
1942년에는 일본으로 건너가 도쿄 릿쿄 대학(立教大学) 영문과에 입학하였고,
6개월 후에 중퇴하여 교토시 도시샤 대학 문학부로 전학하였다.
그러나 그는 불령선인으로 지목되어 일본경찰의 감시를 당하고 있었다.
연세대학교 신촌 캠퍼스 경내에 있는 윤동주 시비
1943년 7월 14일, 귀향길에 오르기 전 사상범으로 일본 경찰에 체포되어 교토의 카모가와 경찰서에 구금되었다.
이듬해 교토 지방 재판소에서 2년형을 언도받고 후쿠오카 형무소에 수감되었다.
1944년 3월 31일 교토지방재판소 제1 형사부 이시이 히라오 재판장 명의로 된 판결문은 징역 2년형을 선고하면서
“윤동주는 어릴 적부터 민족학교 교육을 받고 사상적 문화적으로 심독했으며 친구 감화 등에 의해 대단한 민족의식을 갖고 내선(일본과 조선)의 차별 문제에 대하여 깊은 원망의 뜻을 품고 있었고,
조선 독립의 야망을 실현시키려 하는 망동을 했다.”라고 적혀 있다.
교토지방 재판소에서 송몽규와 함께 치안유지법 제5조 위반죄로 징역 2년을 선고받은 뒤 후쿠오카 형무소로 이송되었다.
1945년 2월 16일 오전 3시 36분 후쿠오카 형무소에서 옥사하였다.
시신은 화장된 뒤 가족들에게 인도되어 그 해 3월 장례식을 치른 후 간도 용정에 유해가 묻혔다(향년 27세).
그의 조부 윤하현의 비석으로 마련한 흰 돌을 그의 비석으로 사용하였다.
그가 죽고 10일 뒤 '2월 16일 동주 사망, 시체 가지러오라' 는 전보가 고향집에 배달되었다.
부친 윤영석과 당숙 윤영춘이 시신을 인수, 수습하러 일본으로 건너갔다.
그런데 뒤늦게 '동주 위독하니 보석할 수 있음. 만일 사망시에는 시체를 가져가거나 아니면
큐슈제대(九州帝大) 의학부에 해부용으로 제공할 것임. 속답 바람' 이라는 우편 통지서가 고향집에 배달되었다.
후일 윤동주의 동생 윤일주는 이를 두고 "사망 전보보다 10일이나 늦게 온 이것을 본 집안 사람들의 원통함은 이를 갈고도 남음이 있었다."고 회고하였다.
한편, 그의 죽음에 관해서는 옥중에서 정체를 알 수 없는 주사를 정기적으로 맞은 결과이며,
이는 일제의 생체실험의 일환이었다는 주장도 제기되고 있다.
사후
1947년 2월 정지용의 소개로 경향신문에 유작이 처음 소개되고 함께 추도회가 거행된다.
1948년 2월 윤동주의 3주기 추도식에 맞춰 윤동주의 유작 31편과 정지용의 서문으로 이루어진 유고시집
《하늘과 바람과 별과 시》 초간본을 임시로 발간하였고, 같은 해 3월 정식으로 정음사에서 간행하였다.
이후 1962년 3월부터 독립유공자를 대량으로 발굴 포상할 때,
그에게도 건국공로훈장 서훈이 신청되었으나 유족들이 사양하였다.
1990년 8월 15일에야 건국공로훈장 독립장이 추서되었다.
1985년에는 그의 시정신을 계승하기 위한 윤동주문학상이 한국문인협회에 의해 제정되었다.
작품
《하늘과 바람과 별과 시》 초간본 (1948.2.)
윤동주의 시집은 사후에 출간되어 큰 반향을 일으켰다.
- 《새 명동》
- 《서시(序詩)》
- 《또 다른 고향》
- 《별 헤는 밤》
- 《하늘과 바람과 별과 시》 — 그의 대부분의 작품은 이 유고시집에 실려 있다.
- 1948년의 초간본은 31편이 수록되었으나, 유족들이 보관하고 있던 시를 추가하여
- 1976년 3판에서는 모두 116편이 실리게 되었다.
- 《사진판 윤동주 자필 시고전집》
- 《별을 사랑하는 아이들아》
경향 및 평가
민족적 저항시인, 강인한 의지와 부드러운 서정을 지닌 시인으로 평가되며,
1986년에는 20대 젊은이들이 가장 좋아하는 시인으로 선정되었다.
북한에서는 ‘일제말기 독립의식을 고취한 애국적 시인’으로 평가되고 있다.
그의 시는 생활에서 우러나오는 내용을 서정적으로 표현하였으며, 인간과 우주에 대한 깊은 사색,
식민지 지식인의 고뇌와 진실한 자기성찰의 의식이 담겨 있다고 평가된다.
학력
- 만주 북간도 밍둥 소학교(명동소학교) 졸업
- 만주 지린 다라쯔 학교(대랍자학교) 수료
- 만주 북간도 언전 중학교(은진중학교) 수료
- 평안남도 평양 숭실고등보통학교 수료
- 만주 지린 광밍 중학교(광명중학교) 졸업
- 경성 연희전문학교 졸업
- 일본 릿쿄 대학 영어영문학과 중퇴
- 일본 도시샤 대학 영어영문학과 제적
상훈 경력
기념관
핀슨홀과 윤동주
연세대학교
- 윤동주의 연희전문학교 재학 당시 학생 기숙사로 이용되었던 연세대학교 핀슨홀 일부가
- 윤동주 기념관으로 꾸며져 있다. 향후 핀슨홀 전체를 윤동주 기념관으로 개편할 계획이다.
종로구
- 종로문화재단에서 서울특별시 종로구 청운동에 윤동주문학관을 운영 중이다.
연변
- 연길의 용정 중학교에 윤동주 기념관이 있다.
기념물
- 1968년 11월 2일 연세대학교 등이 모금한 성금으로 연세대에 유작 〈서시〉가 새겨진 ‘윤동주 시비(詩碑)’가 건립되었다.
- 1985년부터 《월간문학지》에서 그를 기념한 「윤동주문학상」 수상자를 매년 선정, 수상하였다.
- 1990년 대한민국 정부에서 그의 공훈을 기리어 건국공로훈장 독립장을 추서하였다.
- 1992년 9월, 모교인 용정 중학교에 〈서시(序詩)〉가 새겨진 시비가 건립되었다.
- 1995년 일본 도시샤 대학에 친필 〈서시〉와 일본어 번역본이 새겨진 시비가 건립되었다.
- 2005년에는 윤동주가 가장 좋아했던 시인 정지용의 시비가 그 옆에 건립되었다.
- 또한 교토 대학 부근 그가 머물던 곳에 기념비를 세우려는 움직임이 있다.
- 1999년 한국예술평론가협의회에서 20세기를 빛낸 한국의 예술인으로 선정되었다.
대중 문화에 나타난 윤동주
방송
- KBS1 《마돈나여 광야에서 별을 노래하라》 제2부 〈하늘과 바람과 별과 시〉 - 영상시극, 1984년 12월 22일(방영시간 120분)
- KBS1 《영상기행3.1절 — 민족시인 尹東柱》, 1988년 3월 1일(방영시간 60분)
- NHK 《NHK스페셜》 〈하늘과 바람과 별과 詩, 尹東柱, 일본통치하의 청춘과 죽음〉, 1995년 3월 11일(방영시간 60분)
- EBS《지식채널e》하늘과 바람과 별과 시 1부: 별 (2006년 7월 31일 방영), 2부: 시 (2006년 8월 7일 방영)
- KBS《해피선데이 - 1박 2일》백두산 탐방 특집 윤동주 생가 방문 (2008년 6~7월)
- SBS《그것이 알고싶다》윤동주 그 죽음의 미스터리, 후쿠오카 형무소에선 무슨 일이 있었나 (2009년 8월 15일)
- MBC《MBC스페셜》가을, 윤동주 생각 (2011년 11월 4일)
- KBS1 《KBS공사창립특집》 불멸의 청년, 윤동주 (2016년 3월 6일)
영화
노래
- 당신의 밤 (황광희, 개코, feat. 오혁)
- 별 헤는 밤 (김민규, 윤현선)
'문학 & 책 리뷰' 카테고리의 다른 글
김소월 시인의 생애와 작품 목록 (27) | 2020.10.09 |
---|---|
정지용 시인의 생애와 작품 연보 (3) | 2020.08.16 |
기형도 시인의 시집과 작품 세계- 투명한 언어, 회색빛 슬픔 (19) | 2020.08.08 |
물에 관한 놀라운 비밀-물은 답을 알고 있다 (12) | 2020.07.18 |
의사에게 살해당하지 않는 47가지 방법/곤도 마코토 (8) | 2020.07.10 |